본문 바로가기
비즈니스

자영업자 성공 사례

by 아이티북 2020. 1. 28.

자영업을 하는 이들에게 있어서 초미의 관심사는 단연 이 사업이 성공할 수 있을지에 관한 것입니다.

사업을 하면서 망하길 바라며 하는 이들은 결코 없을 것이기에 이는 당연한 말입니다.

문제는 현실이 그렇게 만만하지가 않다는 데에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나라가 아닌 이웃나라 일본에서 성공한 자영업자의 이야기를 풀어볼까 합니다.

최근 일본에 대한 감정이 좋지 않다는 건 알지만 그것과는 별개로 들어주시면 되겠습니다.

 

이야기의 주인공은 이와타 요시로라는 사람으로 일본의 테이크아웃 도시락가게 사장입니다.

처음에 해당 도시락 가게는 망해가다 못해 거의 쓰러지기 일보 직전에 있었습니다.

그러한 사업체를 10년 만에 10억원의 매출을 올리는 가업체로 만들었다고 합니다.

그 가게가 위치하고 있던 오사카 지역의 300여 개 도시락 가게 중에서 단연 1위였습니다.

 

이와타 요시로 사장이 쓰러져 가던 도시락 가게를 일으켜 세우면서 입버릇처럼 했던 말이 있습니다.

전략이 없으면 성실한 가난뱅이가 된다는 것입니다.

이는 그에게 있어서는 사업의 신념과도 같은 것으로 무조건 열심히는 절대 흥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마인드로 사업을 운영하던 그가 했던 몇 가지의 전략을 소개하겠습니다.

 

 

 

1. 상품은 단 하나만을 취급한다.

 

여기서 단 하나의 상품이라고 하면 도시락 종류 중에 오직 하나라는 의미가 아닙니다.

도시락 외에 다른 것들까지 곁다리로 끼워서 판매를 하는 행위는 절대적으로 자제했다는 것입니다.

저 역시도 그러한 걸 느꼈던 적이 있었습니다.

지금으로부터 20년 도 넘었는데요 당시 증명사진을 찍기 위해 사진관을 찾고 있었습니다.

처음 가보는 도시에서 사진관을 찾기란 쉽지가 않았는데 어느 골목에 조그맣게 간판이 보였습니다.

 

그런데 들어가 보니 사진관이긴 한데 겉모습은 신발가게였습니다.

알고 보니 4평 남짓한 작은 가게에 안 쪽으로는 사진관이 있었고 바깥쪽으로는 신발을 팔고 있었습니다.

첫 느낌이 대체 이게 사진관이야 신발가게야 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래서인지 장사도 잘 되지 않는 듯 해 보였습니다.

상품은 여러개를 취급하기 보다는 자신이 정한 한 가지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2. 지역 선정은 이동시간이 적은 곳으로

 

사업에 있어서 입지선정은 무엇보다 중요한 요소입니다.

지역 선정에 있어서 고객이 가게를 찾기 위해 오랜 시간을 소모해야 한다면 이는 마이너스입니다.

들은 이야기로 큰 길을 가운데 두고 양쪽 인도에 샌드위치 가게가 있었습니다.

한 쪽은 장사가 잘되는 반면 다른 한 쪽은 거의 장사가 되질 않았습니다.

자세히 보면 재료를 사용하는 것에 있어서도 별 차이가 없고 맛도 특별히 다르지 않은데도 말입니다.

 

하지만 딱 한 가지 차이점이 있었습니다.

장사가 잘 되는 쪽은 크고 작은 회사들이 모여있는 곳인데 반해 반대쪽을 그렇지가 못했습니다.

가운데 길의 넓이도 그렇게 넓지 않았지만 사람들은 애써 길 건너 샌드위치 가게를 이용하기 싫었던 것입니다.

가까운 곳에도 있다면 굳이 힘겹게 건너갈 필요가 없을 겁니다.

고객들은 작은 이동시간도 소모하기 싫어한다는 사실을 잊지않아야겠습니다.

 

 

 

3. 이익을 주지 않는 고객은 버리고 간다

 

어찌보면 냉정하기 그지없습니다만 이건 사업에 있어서는 그렇게만 생각할 수 없습니다.

사업의 목적은 이윤 추구로 쉽게 말해 돈을 버는 것입니다.

그런 상황에서 아무리 사장인 나에게 친절을 베푸는 고객일지라도 이익이 되지 않는다면요?

 

이때는 사업의 번창을 위해 그러한 고객은 버리고 이익을 주는 고객에게 시간을 투자해야만 합니다.

그래서인지 사업을 하는 누군가가 돈을 벌기 위해서는 사사로운 감정에 얽매여서는 안된다고 했습니다.

심성이 곱고 여린 사람은 사업을 하기가 무척 힘든 것 같습니다.

 

 

 

4. 최고의 영업 전략은 실행이다

 

무엇이든지 입만 가지고는 아무 것도 이룰 수가 없습니다.

강의로 먹고 살아가는 사람들이라 하더라도 강의 자리를 만들기 위해 동분서주해야만 합니다.

사업 뿐만 아니라 모든 일이 책상머리에 앉아 펜대만 굴린다고 해서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직접 현장을 경험하고 실패도 해보면서 하나씩 알아가게 되고 그로 인해 이루어 가는 것입니다.

 

 

 

5. 끈질기게 단골 고객을 말들어라

 

단골고객이 많다면 그것 이상 좋은 건 없을 것입니다.

하지만 그러한 고객을 만든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며 관리도 어렵기 마찬가지입니다.

한 번 방문했던 고객들을 어떻게 하면 지속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시간을 투자해야만 합니다.

여기에는 돈도 한 몫을 하겠지만 가장 좋은 투자는 바로 시간입니다.

 

어느 식당에 아주머니 이야기로 자신이 운영하는 식당에는 단골 고객이 많다고 합니다.

가만히 보면 음식이 맛이 없는 건 아니지만 그렇다고 딱히 특별한 맛이 있는 것도 아닙니다.

그런데도 단골 고객이 있는 걸 보면 신기할 따름입니다.

정답은 다름아닌 훈훈한 아주머니 사장님의 입담에 있었습니다.

 

말을 잘 하기 보다는 식당에 혼자 오시는 손님들의 말동무가 되어주었던 것이었습니다.

게다가 자신이 말하기 보다는 잘 들어주고 공감해 주는 능력이 뛰어난 아주머니셨습니다.

결국 그 식당에 단골 고객들은 음식을 먹으러 오기보다는 구수한 정을 먹으러 오는 손님들이었습니다.

 

 

 

6. 고객과 직접 만나라

 

대부분 높은 자리에 올라갈 수록 현업을 점차 멀리하는 것을 보곤 합니다.

영업부서에 있는 이들도 사원일 때는 수시로 고객들을 만나다가 지위가 높아지면서 점차 떠나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절대로 자신의 사업체에 고객들을 오래 머무르게 할 수 없습니다.

 

아무리 지위가 높아진다 하더라도 가끔씩이라도 연락하며 안부를 묻는 작은 습관이 성공의 지름길입니다.

높은 자리로 갈 수록 일이 많아지는데 어떻게 그렇게 할 수 있겠습니까?

그 질문에 대한 대답은 그렇기 때문에 지위가 높아질 수록 더 바빠지는 것이며 당연한 댓가인 것입니다.

 

 

 

7. 인테리어나 설비에 과도한 자금을 들이면 안된다

 

제가 아는 사업장만 해도 인테리어나 설비에 너무 많은 자금을 투입한 나머지 쓰러지는 곳을 봐오곤 했습니다.

물론 화려한 내부시설을 가진 가게라면 손님들에게 있어서도 매력적일 수 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손님들은 멋진 실내를 감상하기 위해 방문하는 것이 아니란 사실을 염두에 두셔야 합니다.

 

물론 사업의 특성 상 그러한 요소를 갖추어야 하는 경우도 없지 않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은 아주 튀는 정도로 하지 않더라도 고객의 발길을 이끄는데 큰 무리가 없습니다.

 

 

 

8. 몸이 아닌 생각으로 일하라

 

이건 사실 너무나 당연한 말입니다만 현실에서는 잘 지켜지지 않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사람들은 바쁘게 몸을 움직이면 다 되는 것으로만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생각이 따르지 않는 육체적 노동은 아무런 성과도 없이 끝날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항상 생각하며 일 할 수 있겠습니까?

바로 지속적인 배움의 자세입니다.

경영관련 교육을 들으러 갔을 때 강사분이 했던 말이 아직도 기억에 생생합니다.

우리나라 사장님들은 열심히 일은 하는데 도무지 배우려고 하지 않으며 공부할 생각도 않한다고 말입니다.

 

저도 공감하는 대목이며 반성해야 합니다.

자신이 운영하는 사업에 대한 기술에 있어서 다 알고 있다는 자만에 빠져 더 이상 배우려 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현실은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하루가 다르게 변하는 세상에서 기술트랜드도 빠르게 변모합니다.

지속적으로 배우고 생각하면서 사업을 운영하는 것이 성공의 지름길입니다.

 

여기까지 일본 테이크아웃 도시락 가게 사장인 이와타 요시로의 경영철학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이 정도 철학이면 망해 가던 가게를 10년 안에 그 지역 1위 기업으로 만들만 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비즈니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입지 선정  (0) 2020.01.30
업종 선택 시 고려 사항  (0) 2020.01.29
자영업자의 실패 원인  (0) 2020.01.29
숙박 업계의 신선한 변화 게스트하우스  (0) 2020.01.28
자영업자와 소상공인 차이  (0) 2020.01.27

댓글